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리오행2

작명이나 개명 시 '슬, 설, 솔, 실' 자의 사용에 관하여 작명이나 개명 시 '슬, 설, 솔, 실'자의 사용에 관하여 질문: 2023년 10월 18일 0시9분 탄생으로 한글이름으로 하여 성은 박, 이름은 '슬우' 라고 지으려고 하는데 아기한테 맞는 이름일까요? 남자아이입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자녀의 이름은 한글부터 신중하게 잘 살피셔야 합니다. '슬우'는 쓸 때는 '슬우'가 되지만 부를 때는 '스루'가 되어 두개의 이름이 되거나 엉뚱한 이름이 됩니다. 한글오행이 대부분 그러하지만 참고하셔야 합니다. 슬아, 시라, 솔아, 설아 등이 다 해당됩니다. 특히 중요한 것은 '슬'자는 ㄹ 받침자음으로 인해 '금과 화'의 상극으로 구성된 한글입니다. 적어도 '스(금)' 자는 아니라는 뜻이며 실, 설, 솔 자가 다 해당됩니다. 한글성명학적으로는 흔한말로 빵점이 되어 사용하지.. 2023. 12. 5.
작명이나 개명 시 발음오행(소리오행)으로 사주를 완전하게 보완할 수는 없습니다. 작명이나 개명 시 발음오행(소리오행)으로 사주를 완전하게 보완할 수는 없습니다. 인터넷의 지식인등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중에 발음오행이 사주를 보완하지 못해 다시 작명해야 한다고 하거나 이미 정해진 어떤 자음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인들은 결국 발음오행으로 사주를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는 성명학이라는 덧에 걸린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김 씨 성에목화’의 오행이 안정적이거나 태과하여 넘치고, ‘금과 토’가 없는 경우, 혹은 ‘금토’는 넘치고 ‘화수’가 없는 경우를 보자(물론 용신까지도 다 보았을 경우) 저들의 주장대로 한다면 김김 씨 성 다음에 ‘금토’를 보완하려면 김 다음에 ㅅ,ㅈ ㅊ이나 ㅇ,ㅎ을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ㄱ’과 ㅅ,ㅈ,ㅊ혹은 ㅇ,ㅎ은 ‘목금’ 혹은 ‘목토’로.. 2023. 1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