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성2

작명과 개명 시 종성의 발음오행 즉 받침자음이란 무엇인가? 작명과 개명 시 종성의 발음오행 즉 받침자음이란 무엇인가? 성명학에서 종성(받침)이란 무엇인가? 이미 여러 차례 지식인이나 블로그를 통해 종성의 중요성을 역설하였으나 아직도 종성의 개념조차모르는 후학이나 작명가들이 너무 많고 일반인들은 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것 같아 마지막으로 한번 더 올려본다 한자를 사용하는 수리성명학이나 한글로 작명하는 소리오행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이 바로 소리오행(발음오행)이다 이런 오행을 구분하는 용어 중 초성과 종성이 있는데 초성이란 기, 구, 모, 소, 최, 추, 차, 이, 유, 지, 채 등 받침이 없는 글자를 초성이라 하고, 김, 박, 송, 정, 윤, 한, 신, 공, 경, 변 등 대부분의 성씨들과 혁, 훈, 현, 환, 순, 필 등의 한글 즉 아래 받침이 .. 2023. 12. 18.
소리로 작명하는 한글성명학에서 작명할 수 없는 불용한글 소리로 작명하는 한글성명학에서 사용하지 않는 불용한글 수리성명학에서는 한문을 가지고 자의나 어원 및 뜻을 따져 이름자로 쓰기에는 그 뜻이 흉측하거나 너무 좋은 의미만 강조하여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고 하여 그 사용을 자제하는 불용한자가 있지만 한글성명학에서는 불려지는 소리오행이 서로 상극의 관계로 구성되는 글자가 바로 불용한글이 된다. 어떤 성명학이든 평생을 사용하고 불러야 하는 한글이름은 가장 중요하고 그 구성이 초성과 모음과 받침자음으로 구성되고 이 구성은 반드시 상생으로 조합해야 진정한 한글이름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수리성명학적인 작명을 하면서 종성(받침자음)은 무시하고 초성만 조합해서 맞으면 좋은 이름이라고 작명을 하게 된다. 즉 종성의 받침자음이 분명히 발음되고 소리가 나는 한글조합을 .. 2023.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