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글성명학의 문제점2

태어난 년도와 띠로 작명하는 한글성명학의 문제점 및 허와 실 태어난 년도와 띠로 작명하는 한글성명학의 문제점 및 허와 실 한자로 작명하는 수리성명학적으로도 작명하는 방법이나 주장하는 내용들이 서로 달라 어떤 표준적인 기준이나 규칙이 없는 상황에서 태어난 년도와 지지(띠)로 작명하는 한글성명학은 어떤 문제점들이 노출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한글성명학은 사주를 풀거나 용신을 따지고 부족한 오행을 보완하는 작명을 하지 않습니다. 즉 남의 나라 한자를 풀어 81 수리를 스스로 만들어서 이를 사용하여 좋은 획수가 있다고 이 수리가 맞아야 하고 사주도 보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작명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자신의 한자조차 획수를 모르거나 쓸 줄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한자획수리가 가장 중요해서 한자를 반드시 써야 그 수리에서 좋은 운이 발생한다고 주장하면서도 녹음기를 .. 2023. 10. 18.
평생을 불러야 하는 한글이름과 한글성명학의 문제점 알아볼게요 평생을 불러야 하는 한글이름 한글성명학의 문제점 알아볼게요 어느 역학적인 학문이나 성명학에서 문제점이나 주장은 각각 다를 수 있는데 이름을 장롱 속에 넣어두기만 하는 한자성명학에 비해 평생을 불러야 하는 한글이름이 가장 중요하다는 논리인 한글성명학 역시 직접작명을 하다 보면 여러 가지 문제점과 난관에 부딪히게 되며 그 한계가 드러나게 된다. 1. 사주에서는 육친관계의 풀이가 태어난 년도와 일진에 따라 각 8개로 정해지기 때문에 풀이가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한글성명학에서 각각의 고정주파수와 육친관계가 외자는 너무 부족하게 되어 작명이 어렵고 '김작명'처럼 받침자음을 포함하면 6개의 오행이 발생하는 경우는 상극의 주파수가 너무 많이 생겨 자녀운, 재물운, 건강운, 직업운 등이 전체가 상극으로 부족한 결과가 .. 2023.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