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 기 천간 기(己)년생 사주 기해생, 기축생, 기묘생, 기사생, 기미생, 기유생
천간 기 천간 기(己)년생 사주 기해생, 기축생, 기묘생, 기사생, 기미생, 기유생 기년생(己 年 生 ) 하늘이 준 성품은 재주도 많고 예능적 소질이 있으며 착실하고 인자하며 남들로부터 귀인성이 있고 외유내강의 성품입니다. 그러나 한가지 일을 꾸준히 밀고 나가지 못하고 이것저것 벌려만 놓고 끝마무리가 좋지 않아 용두사미격의 결실 보기 어렵고 재물을 헛되게 쓰는 낭비벽이 있는 것이 이태생의 명운입니다. 게다가 남에게 자신의 초라한 모습을 내보이는 것을 무척 싫어하고 흔한 말로 뻥을 잘치고 허풍을 잘 떨며 이중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 그 속마음을 헤아리기가 심히 어려운 것이 이태생의 크나큰 흠입니다. 그러나 발명가로 대성하는 자 많고 담력은 약한듯하나 그 마음은 넓고 웅대합니다. 또한 순간적인 두뇌회전이 빠르..
2023. 12. 20.
작명과 개명 시 종성의 발음오행 즉 받침자음이란 무엇인가?
작명과 개명 시 종성의 발음오행 즉 받침자음이란 무엇인가? 성명학에서 종성(받침)이란 무엇인가? 이미 여러 차례 지식인이나 블로그를 통해 종성의 중요성을 역설하였으나 아직도 종성의 개념조차모르는 후학이나 작명가들이 너무 많고 일반인들은 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것 같아 마지막으로 한번 더 올려본다 한자를 사용하는 수리성명학이나 한글로 작명하는 소리오행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이 바로 소리오행(발음오행)이다 이런 오행을 구분하는 용어 중 초성과 종성이 있는데 초성이란 기, 구, 모, 소, 최, 추, 차, 이, 유, 지, 채 등 받침이 없는 글자를 초성이라 하고, 김, 박, 송, 정, 윤, 한, 신, 공, 경, 변 등 대부분의 성씨들과 혁, 훈, 현, 환, 순, 필 등의 한글 즉 아래 받침이 ..
2023. 12. 18.
천간 무 천간(戊) 무년생 사주 보기 무인생, 무진생, 무오생, 무신생, 무자생,무술생
천간 무 천간(戊) 무년생 사주 보기 무인생, 무진생, 무오생, 무신생, 무자생,무술생 무년생(戊 年 生 ) 타고난 천성은 정의감이 강하고 중후한 인품에 후덕한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호기심도 많고, 뜻이 넓고 크며, 통이 크고 큰일을 잘 합니다. 신앙심이 좋고, 강직한 외고집성이 있으나 뒤끝이 없습니다. 그러나 인물적인 뒷 배경이 부족하기 때문에 한가지 신앙을 가지고 자수성가의 기반을 구축해야 함이 최상입니다. 부부애정운이 빈약하여 양쪽 집을 오가는 수가 있고 상처상부를 하거나 처나 남편의 질병으로 고민할 수 있고 초혼이 불리하여 재혼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신앙이나 공덕이 부족하면 복록이 반감되며 지극한 신앙심이 필요한 명입니다. 자신이 행한 일이 실패해도 후회나 미련을 갖지 않으며 다음기회에..
2023. 12. 18.